목록전체 글 (32)
다히의 개발일지

* session & cookie 게시물과 연관 spring 프로젝트로 구조는 다음과 같다. UserController.java @Controll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{ //로그인 화면 @RequestMapping("/login") public String login() { System.out.println("==== loginPage Start ===="); return "login"; } // 로그아웃 @RequestMapping("logout") public String logout(HttpSession session) { session.setAttribute("userLoginInfo", null); return "redirect:login"; } @Inject ..

POST, GET, PUT 차이 Get : 요청받은 url의 정보를 검색하여 응답 특징 - url에 데이터 포함, 데이터를 header에 포함하여 전송, 전송 길이 제한, 보안 취약, 캐싱 가능 ( 한번 접근 후 빠 르게 접근 가능하도록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저장시켜 놓는 것) Post : 요청된 자원을 생성한다. 새로 작성된 리소스인 경우 http 헤더 항목 Location : URL 주소를 포함 하여 응답 특징 - url에 데이터 노출하지 않고 데이터를 body에 포함 ( body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Content-Type이라는 헤더 필드가 들어가며 데이터 타입을 명시 ) , 보안 O, 전송 길이 제한 X , 캐싱 X , 텍스트박스, 라디오 버튼과 같은 객체값도 전달됨, 타임아웃 존재 PUT : 요청된..

* 오라클 테이블 스페이스 생성하기 물리적으로 그룹화된 데이터를 위한 논리적 저장 단위 •oracle 계정 로그인 su - oracle •file name과 tablespace name 등에 관한 정보가 보임 SELECT * FROM DBA_DATA_FILES; •DBA_TABLESPACE 테이블 스페이스 목록 SELECT TABLESPACE_NAME, STATUS, CONTENTS FROM DBA_TABLESPACES; •TABLESPACE 목록 조회 tckadm이 사용하는 tablespace명은 users SELECT USERNAME, DEFAULT_TABLESPACE FROM dba_users; users의 dbf 확인 •Tablespace 생성 create tablespace 테이블 스페이스 명 ..

우선, 프로젝트 (로그인 화면 구현) 관련해서 참조한 url 정보 https://kuzuro.blogspot.com/2018/04/13.html http://www.mungchung.com/xe/spring/21229 [ 세션과 쿠키 ] 필요성 : 웹, HTTP 프로토콜이 비연결성, STATELESS 하기 때문이다. HTTP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을 때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. 즉,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REQUEST를 날리고,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로 응답을 주면 그 둘은 서로 모르는 사이가 된다.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한 번 이루어지고 끝이 나면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,(STATELESS) 쿠키 :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데이터인데, 쿠키에 로그인 정보를 저장해 놓으면..

1. java.sql.SQLException : ORA-28040 : 일치하는 인증 프로토콜이 없습니다. 2. ORA-01017: invalid username/password; logon denied

1. pom.xml ORA-28040 오류 발생 시 ORACLE ojdbc를 최신버전으로 맞춰 주어야 한다. org.apache.tomcat tomcat-dbcp provided 7.0.53 commons-dbcp commons-dbcp 1.4 org.springframework spring-jdbc ${org.springframework-version} mysql mysql-connector-java 5.1.39 com.oracle ojdbc6 11.2.0.2.0 Oracle, mysql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해당 내용을 모두 넣어주어야 한다. 2. context-datasource.xml bean 생성 시 id값을 다르게 설정해주어야 한다. 3. context-mapper.xml SqlSessionF..
sequence 를 사용할 때, @Id @Column(name = "ID", precision = 19, nullable = false) @Comment(value = "ID") 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SEQUENCE, generator="시퀀스테이블명") @SequenceGenerator(name="시퀀스테이블명", sequenceName="시퀀스테이블명", allocationSize = 1, initialValue = 1) @ColumnPosition(1) private Long id; sequence 필요 없이 자동으로 값이 증가 @Id @Column(name = "ID", precision = 19) @ColumnPosition(1) @Gener..